[Baekjoon] 2156. 포도주 시식

1 minute read

포도주 시식

문제 설명


문제

효주는 포도주 시식회에 갔다. 그 곳에 갔더니, 테이블 위에 다양한 포도주가 들어있는 포도주 잔이 일렬로 놓여 있었다. 효주는 포도주 시식을 하려고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규칙이 있다.

  1. 포도주 잔을 선택하면 그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는 모두 마셔야 하고, 마신 후에는 원래 위치에 다시 놓아야 한다.
  2. 연속으로 놓여 있는 3잔을 모두 마실 수는 없다.

효주는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맛보기 위해서 어떤 포도주 잔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는 n개의 포도주 잔이 순서대로 테이블 위에 놓여 있고, 각 포도주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의 양이 주어졌을 때, 효주를 도와 가장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6개의 포도주 잔이 있고, 각각의 잔에 순서대로 6, 10, 13, 9, 8, 1 만큼의 포도주가 들어 있을 때,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포도주 잔을 선택하면 총 포도주 양이 33으로 최대로 마실 수 있다.

입력

첫째 줄에 포도주 잔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n≤10,000)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포도주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의 양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포도주의 양은 1,000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대로 마실 수 있는 포도주의 양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6
6
10
13
9
8
1

예제 출력 1

33


문제 풀이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이 문제는 백준의 2579. 계단 오르기 문제와 유사하면서도,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는 문제에서부터 언급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단계별로 풀어보기’에서 ‘계단 오르기’ 문제 이후에 ‘포도주 시식’ 문제를 풀기 때문에, 두 문제의 유사점에 집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무튼, 두 문제의 결정적인 차이는 간격에 대한 제한이 없다는 것이죠.

‘계단 오르기’ 문제에서는 한 칸 또는 두 칸이라는 간격 제한이 있었지만, ‘포도주 시식’ 문제에는 없습니다. 즉, 많은 양을 마실 수만 있다면 포도주를 아주 많이 건너뛰어도 상관없습니다.

이를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전 포도주 안 마셨을 때 최댓값, 전 포도주 마셨을 때 최댓값
wines = [[0,0]] + [[int(input())]*2 for _ in range(int(input()))]
maxScoreX, maxScoreO = 0,0
for i in range(2,len(wines)):
    maxScoreX, maxScoreO = max(maxScoreX,wines[i-2][0]),max(maxScoreO,wines[i-2][1])
    wines[i][0] += max(maxScoreX,maxScoreO)
    wines[i][1] += wines[i-1][0]
print(max(wines[-2]+wines[-1]))

'''
점수 |  0  6  10  13   9   8   1
전 X |  0  6  10  19  25  31  29
전 O |  0  6  16  23  28  33  32
'''


‘계단 오르기’ 문제의 풀이와 다른 점을 위주로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