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Tech][Object Detection] 20220401 - Object Detection Competition

9 minute read


**본 포스팅은 ‘송원호’ 강사 님의 강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Object Detection Competition

지난 포스팅까지 object detection 전반에 대한 학습을 마쳤습니다. 이번 포스팅과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 object detection 대회에서 어떠한 기법들이 사용되는지, 알아야 할 것은 무엇언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AP에 대한 오해

Object detection에서는 mAP가 metric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mAP에 큰 맹점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아래 그림을 보면 왼쪽의 탐지 성능이 훨씬 나은 것처럼 보이지만, mAP는 오른쪽 탐지 성능에서 훨씬 높습니다. 왜 그럴까요?

image-20220402175620754

모델이 예측한 bbox들에 대해 confidence threshold를 낮추면 낮출수록 PR Curve의 면적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mAP는 계속해서 상승하게 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강의에서 제공한 예시 상황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시 상황: 8개의 얼굴이 존재하는 어떤 데이터셋에서 총 5개의 얼굴이 검출된 상황

image-20220402183626677

그리고 위 bbox를 confidence로 내림차순 정렬하고, PR curve를 그리기 위해 precision과 recall을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mage-20220402184326067

우리는 여기서 confidence threshold에 따라 최종 검출된 bbox를 모두 사용할 수도, 일부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threshold=0.7로 설정한 경우(박스가 적지만 질이 높은 경우)와 threshold=0.1로 설정한 경우(박스가 많지만 질이 낮은 경우)로 case를 나눠보겠습니다.

Case 1. Confidence Threshold = 0.7

Confidence threshold를 높게 설정한다는 것은 질이 높은 bbox들만을 적게 사용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image-20220402184502267

이 경우 PR curve와 AP는 아래와 같이 구해집니다.

image-20220402184555372

Case 2. Confidence Threshold = 0.1

Confidence threshold를 낮게 설정한다는 것은 질이 낮은 bbox들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image-20220402184154957

이 경우에는 PR curve와 AP가 아래와 같이 구해집니다.

image-20220402184808798


즉, 우리가 설정한 confidence threshold 미만의 bbox들 중 TP(True Positive)가 하나라도 있다면, AP 점수는 상승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로부터 모델의 성능과 mAP 점수 사이의 괴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실제 연구에서는 대부분 0.05를 threshold로 설정하여 mAP를 평가하며, 적용하는 분야의 특징에 따라 threshold나 metric을 조정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Pipeline 구축

Object detection 뿐 아닌, 모든 모델을 사용하는 competition의 경우 pipeline을 잘 설계하고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강의에서 제안하는 pipeline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EDA
    • task에 적합한 EDA 수행
  • 파이프라인 구축
    • 어떤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인가?
    • 직접 구현할 것인가?
    • 공유된 코드를 활용할 것인가?
    • “Dataset -> Submission file”까지의 모든 과정을 구축하는 것을 파이프라인 구축이라고 함
  • Validation set 찾기
  • 성능을 올리기 위한 시도 반복

제가 이번 p stage 과정에서 수행한 eda와 구축한 pipeline 은 추후에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강의에서 강조하는 ‘validation set 찾기’와 ‘성능을 올리기 위한 시도 반복’에 대해 보겠습니다.



Validation set 찾기

Competition에서는 리더보드가 있습니다. 테스트 데이터셋(혹은 별도의 private 데이터셋)으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죠.

좋은 Validation set이란, validation set의 점수와 리더보드의 점수의 변화 경향이 비슷한 데이터셋을 말합니다. 즉 validation set 점수가 올라가면 리더보드 점수도 올라가고, validation set 점수가 떨어지면 리더보드 점수도 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절대적인 수치 자체도 비슷한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validation set을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아래의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Random split
  • K-fold
  • Stratified k-fold
  • Group k-fold

Random split

  • 전체 데이터를 랜덤하게 Train/Valid로 분리
  • Train 데이터로는 학습을, Valid 데이터로는 검증을 진행

image-20220402230148029

K-fold

  • 전체 데이터를 일정 비율로 Train/Valid로 분리
  • Split 수 만큼의 독립적인 모델을 학습하고 검증

image-20220402230343829

Stratified k-fold

  • 데이터 분포를 고려하지 않는 K-fold 방식과 달리, fold마다 유사한 데이터 분포를 갖도록 분리
  • 데이터 분포가 imbalance한 상황에서 더욱 좋음

image-20220402230442319

Group k-fold

  • Group을 기준으로 validation set을 분리
    • 여기서 Group이란 train set과 validation set을 나눌 때 분리할 기준이며,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고 class/label과는 다르다
  •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의 얼굴 사진을 모아 10개의 표정 클래스로 분류하는 일을 한다고 하자.
    • 이 때 class는 사람의 표정이다.
    • 사람의 얼굴로 train-validation set을 나누는 경우, 두 set에 같은 사람의 얼굴이 들어가 있으면 validation에 방해가 된다.
      • 즉, 새 얼굴에 대한 일반화 성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려면 train set과 validation set에는 서로 다른 사람의 사진이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
    • 따라서, 이 경우 ‘사람’을 group으로 설정한다.
    • 이를 위해 사진의 사람이 누구인지 기록한 배열을 groups 매개변수로 전달받을 수 있는 GroupKFold를 사용할 수 있다.
  • 일반적인 적용 예시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 여러 환자로부터 얻은 여러 질병 샘플을 가지고 새로운 환자의 질병을 구분 싶을 때
    • 여러 사람으로부터 여러 대화 샘플을 가지고 대화 주제를 구분하고 싶을 때
  • 참고: https://woolulu.tistory.com/71

image-20220402230930104



성능을 올리기 위한 시도 반복

Data Augmentation

Albumentations

모델의 성능을 올리는 방법 중 하나는 다양한 augmentation을 적용해보고, 최적의 augmentation 조합을 찾는 것입니다.

유용한 augmentation library로 그 유명한 Albumentations이 있습니다. Detection task에서는 이미지에 변형이 가해지면서 ground truth bbox 값 또한 변경 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인데요, albumentations 에서는 image와 ground truth bbox 를 전달해주면 이를 자동으로 처리해줍니다.

image-20220402231651826

Cutmix

각광받는 augmentation 기법으로 Mixup, Cutout, Cutmix와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Label smoothing을 적용하여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image-20220402231827667

그런데 detection에서 cutmix와 같은 방법은 Cropping에 따라 객체가 잘리거나, 객체가 없는 부분만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Mosaic

이에 대한 대안으로 Mosaic 기법이 대두되었습니다. Mosaic augmentation은 4개의 이미지를 그대로 붙여서 1개의 이미지처럼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image-20220402232331391

Cutmix 기법과 달리 객체가 잘리거나 사라질 문제도 없고, 4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 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batch size를 크게 설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Detection task에서는 GPU memory의 한계로 batch size를 매우 작게 설정해야 할 때가 있는데, Mosaic와 같은 기법을 사용하면 이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Ensemble & TTA

Ensemble(또는 TTA)은 inference 과정에서 성능을 굉장히 많이 끌어올릴 수 있는 강력한 기법입니다. 여러 모델들을 함께 사용하는 ensemble은 특히나 detection task에서 그 효과가 매우 높습니다.

Detection에서 사용되는 ensemble 기법으로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 NMS(Non Maximum Suppresion)
  • Soft NMS
  • WBF(Weight Box Fusion)

NMS

NMS에 대해서는 앞선 포스팅들에서 모델들에 대해 설명할 때 함께 설명했었습니다. Detection model에서 roi들을 걸러낼 때 사용했던 방법이죠.

NMS는 아래와 같이 bbox들을 confidence 순으로 내림차순 정렬하고, 상위 bbox와 같은 클래스이면서 iou가 threshold 이상인 하위 bbox들은 모두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image-20220402233738415

그런데 NMS에서는 다른 bbox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iou가 threshold 이상이지만 다른 객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image-20220402233831397

Soft NMS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oft NMS에서는 하위 bbox들을 제거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하위 bbox들의 confidence score를 낮춰서 추후 최종 bbox들을 선택하는 confidence threshold에서 걸러질 수 있도록 합니다.

image-20220402233950574

WBF

현 시점에서 가장 강력한 detection ensemble 방법은 WBF입니다. WBF에서는 bbox들을 개별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적절히 합쳐서 사용합니다.

WBF는 같은 클래스로 예측한 이웃한 bbox들을 confidence score에 기반하여 그 좌표를 가중평균(weighted summation)해서 하나의 합쳐진 bbox를 만들어냅니다.

image-20220402234327289

이 때 하이퍼파라미터를 통해 일부 bbox들은 fusion에 사용하지 않는 등의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어떤 앙상블 기법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어떤 모델들을 앙상블에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 Seed Ensemble
  • Framework Ensemble
  • Snapshot Ensemble
  • Fold Ensemble
  • Stochastic Weight Averaging (SWA)

Seed Ensemble

Seed Ensemble은 randomness를 결정짓는 seed를 바꿔가며 여러 모델을 학습 시킨 후 앙상블하는 방법입니다.

image-20220402234922937

Framework Ensemble

Framework Ensemble은 서로 다른 여러 라이브러리에서의 모델을 앙상블하는 방법입니다. 다양성이 추가될수록 좋습니다.

Snapshot Ensemble

Snapshot Ensemble은 동일한 아키텍쳐이지만 서로 다른 local minima에 빠진 신경망을 앙상블하는 방법입니다.

Fold Ensemble

Fold Ensemble은 같은 모델을 서로 다른 fold로 학습시킨 결과를 앙상블하는 방법입니다.

Stochastic Weight Averaging (SWA)

Stochastic Weighted Averaging은 앞서 본 방법들이 학습이 완료된 모델을 앙상블하는 것과 달리, 학습 과정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모델들의 가중치를 평균을 내서 더 general한 모델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image-20220402235241579

github - WBF

다양한 앙상블 기법을 코드 레벨에서 이해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aggle Solutions

Global Wheat Detection

image-20220403131254322

Overview

Global Wheat Detection 대회는 이미지에서 wheat head를 탐지하는 대회로, 1 class detection이라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본 대회의 특징이자 중요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미지 내에 박스가 없는 경우도 있음
  • 매우 작은 크기의 객체도 탐지하려 할 것인가? 노이즈로 처리할 것인가?

image-20220403131320168

Solution

  • Custom masiac data augmentation

    • 4개의 image 이용
    • 모서리를 포함한 일정 부분을 crop하여 concat

    image-20220403131508707

  • Mixup

  • Heavy augmentation

    • RandomCrop, HorizontalFlip, VerticalFlip, ToGray, GaussNoise, MotionBlur, MedianBlur, Blur, CLAHE, Sharpen, Emboss, RandomBrightnessContrast, HueSaturationValue
  • Data cleaning

    • 높이, 너비가 10px 이하인 작은 box 제거
  • Model

    • 5 folds, stratified k-fold(splitted by source: usask_1, arvalis_1, arvalis_2, …)
    • Optimizer
      • Adam with inital LR 5e-4 for EfficientDet
      • SGD with initial LR 5e-3 for Faster RCNN with FPN
    • LR Scheduler
      • cosine-annelaing
    • Mixed precision(16fp, 32fp) training with nvidia-apex
  • Ensemble multi-scale model through WBF

  • TTA

    • HorizontalFlip, VerticalFlip, Rotate90
  • Pseudo labeling

    • 경진 대회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강력한 기법
      • Base model의 test data prediction을 다음 모델의 train data로 사용
    • Round 1
      • Base
        • EfficientDet-d6 with image-size 640 Fold1 0.716 Valid AP
      • Training Data
        • 기존 Trainset + Test data output
      • 10 epoch
      • Result : 0.7719 Public LB / 0.7175 Private LB
    • Round 2
      • Base
        • Round 1 model
      • Training Data
        • 기존 Trainset + Round1 model의 Test data output
      • 6 epoch
      • Result : 0.7754 Public LB / 0.7205 Private LB
  • MultilabelStratifiedKFold with 5 folds

    • https://github.com/trent-b/iterative-stratification
    • Number of boxes, Median of box areas, Image source

VinBigData Chest X-ray Abnormalities

image-20220403150221290

Overview

본 대회는 흉부 x-ray 사진으로부터 이상 부분을 검출해내는 대회입니다. 총 14개의 클래스가 존재하고, 성능지표로는 mAP40을 사용하며 박스가 없는 이미지도 있습니다.

본 대회의 특이한 점은 Train data 이미지를 5명의 전문가가 직접 labeling 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 위치에 여러 개 box가 존재하며, 다른 class로 labeling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전처리가 필요한 부분일 것입니다.

또한 test data의 경우 3명의 전문가가 판별했을 때 겹치는 box만 labeling하였습니다.

image-20220403150713874

Solution

  • Use opened code(Baseline)

    • Faster RCNN with FPN using Detectron2
  • WBF ensemble with yolov5

  • Ensemble with other yolo fold and other yolo hyperparameters

  • Pre processing

    • 같은 객체를 가리키는 여러 개 박스를 하나의 박스로 WBF

    image-20220403151346270

  • CV strategy

    • 각자 개인적으로 competition에 참여하다가 마지막에 team up 되어서 CV가 전부 다른 상태
    • 하지만 이것으로 오히려 다양한 데이터셋으로 학습한 모델들을 앙상블 할 수 있게 되면서 엄청난 결과 향상
  • Team-up ensemble

    image-20220403151641698

Other solution

  • Grid Search
    • ATSS
    • Cascade RFP
      • ResNet 50
    • GFL
      • ResNet 101
      • ResNext 101
    • RetinaNet
      • ResNext 101
    • UniverseNet
  • Training tricks
    • Albumentation
      • ShiftScaleRotate, IAAAffine, Blur/GaussianBlur/MedianBlur, RandomBrightnessContrast, IAAAdditiveGaussianNoise, GaussNoise, HorizontalFlip.
    • 1024 x 1024로 모든 model을 학습 이후 작은 박스를 잘 잡기 위해서 2048 x 2048로 파인튜닝
    • FP16을 사용하여 speed와 batch size 모두 늘림
    • CosineAnnealing보다 stepLR 스케쥴러가 더 좋은 성능 향상
    • Class Balanced Dataset을 사용 but 성능 향상은 없음
  • 2-step training
    • 모든 data를 활용해 30 epoch 동안 학습 후 best checkpoint를 저장
    • 전문가 별로 박스를 몇 개 라벨링 했는 지 계산 가능
    • 이때 박스를 적게 친 전문가(rare radiologists)들이 친 이미지를 학습 데이터로 파인튜닝
  • Investigation mAP
    • 여러 실험에도 더 이상 mAP 점수가 오르지 않았음
    • OOF(out-of-folds)를 가지고, 각 클래스 별 AP를 계산 (local score)
    • 이후, AP가 낮은 클래스에 대해 해당 클래스의 AP가 왜 낮은지 조사
      • 조사 결과, 해당 클래스를 라벨링한 전문가 별로 AP가 극명하게 나뉘는 것을 확인
      • 이에 전문가 별로 어떻게 라벨링 했는지 EDA후 결과 확인
      • 확인 결과, AP가 낮은 전문가들이 실제 객체보다 더 큰 박스를 치는 습관이 있음을 확인
    • 이에 위 전문가들의 박스의 크기를 원래 박스보다 작게 변형 후 학습
      • 성능에 큰 향상 !
    • 이에 특정 전문가의 박스만 모아서 매우 큰 resolution으로 모델 학습 후 결과 앙상블
      • 성능에 매우 큰 향상 !
  • CV strategy
    • Class 비율
    • object 개수
    • object 크기

SIIM-FISABIO-RSNA

image-20220403153534316

본 대회는 코로나에 걸린 사람들의 이상 부분을 탐지/분류하는 대회로, 완벽히 detection 대회라고 할 수는 없지만(classification task가 더 많은 부분 차지) 가장 최근에 열린 대회라서 강의에서 소개되었습니다.

  • Classification (4 class) + Object Detection (1 class) + None (1 class)

image-20220403153701798

Solution

  • Train masks from boxes
    • Boxes를 각 마스크로 해서 segmentation pretraining 진행
    • 모델이 박스에 대한 semantic을 좀 더 이해하기를 기대함
  • Augmentation
    • Scale, RandomResizedCrop, Rotate(maximum 10 degrees), HorizontalFlip, VerticalFlip, Blur, CLAHE, IAASharpen, IAAEmboss, RandomBrightnessContrast, Cutout, Mosaic, Mixup
  • Focal Loss
  • TTA
  • Ensemble
  • Models
    • Yolo V5 (1stage detection) input size 768
    • EfficientDet input size 768
    • Faster RCNN resnet 101 input size 1024
    • Faster RCNN resnet 200 input size 768

Summary

  • 모델 다양성은 정말로 중요하다!
    • Resolution, Model structure(Yolo, Effdet, CornerNet, FasterRCNN), Library, Dataset …
  • Heavy augmentations은 거의 필수적이다!
    • 탑 솔루션들의 공통된 augmentations에는 무엇이 있을까?
  • CV Strategy(class proportion, box number, box size, …)를 잘 세우는 것은 shake up 방지에 있어서 정말 중요하다!
  • 체계적인 실험 역시 정말 중요하다!
  • Team up은 성능향상의 엄청난 키가 될 수 있다!
    • 단, 서로 다른 베이스라인을 갖는 경우!



컴피티션으로 학습하는 방법

모델의 최고 성능을 이끌어내야 하는 대회에서는 여러 토론과 실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모든 이론들을 from scratch로 직접 다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대회에서는 사용하는 모델의 전체적인 구조와 중요한 하이퍼파라미터에 대한 이해를 빠르게 하고,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반복적인 실험 만으로는, 해당 모델을 내가 체화했다고는 말 하기 힘들 것입니다.

대회 중에는 필요한 부분에 대한 이해와 많은 실험을 하더라도, 대회 종료 후에는 대회 중에서 사용했던 모델이나 기법들에 대한 논문을 읽어보고, 이를 이해하여 내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훨~~씬 중요합니다.

대회에서 사용했던 지식들을 구체화하고 체화하는 과정이 자신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 자료

  • https://www.kaggle.com/c/global-wheat-detection
  • Wheat 1st solutions, ” https://www.kaggle.com/c/global-wheat-detection/discussion/172418”
  • Wheat 9th solutions, “https://www.kaggle.com/c/global-wheat-detection/discussion/172569”
  • https://www.kaggle.com/c/vinbigdata-chest-xray-abnormalities-detection/overview
  • VinBig 1st solutions, “https://www.kaggle.com/c/vinbigdata-chest-xray-abnormalitiesdetection/discussion/231511”
  • VinBig 2nd solutions, “https://www.kaggle.com/c/vinbigdata-chest-xray-abnormalitiesdetection/discussion/229740”, “https://www.kaggle.com/c/vinbigdata-chest-xray-abnormalitiesdetection/discussion/229696”
  • https://www.kaggle.com/c/siim-covid19-detection
  • SIIM 1st solutions, “https://www.kaggle.com/c/siim-covid19-detection/discussion/263658”

Leave a comment